케미클라우드 워드프레스 호스팅을 사용하고 있다면 cPanel에서 사이트를 관리하게 됩니다.
카페24, 클라우드웨이즈 등 다양한 단독 및 공유 호스팅 회사에서 사이트 및 블로그를 운영하다가 케미클라우드(ChemiCloud)로 이전하게 되면 cPanel 관리툴을 사용합니다.
Redis 캐쉬 시스템 장점
워드프레스에서 Redis 캐시 시스템을 사용하면 여러가지 성능 향상의 장점을 갖게 됩니다.
● 빠른 데이터 접근 : Redis는 인메모리 데이터 스토어로, 디스크 기반 데이터베이스보다 훨씬 빠른 데이터 접근 속도를 제공하기 때문에, 워드프레스 사이트의 전반적인 응답 시간을 개선합니다.
● 데이터베이스 부하 감소 : 자주 요청되는 데이터를 Redis에 캐싱함에 따라 데이터베이스 쿼리 수를 감소시킵니다. 즉, 데이터베이스 서버의 부하를 줄이면서 시스템 전체의 안정성을 높이게 됩니다.
● 분산 캐싱 시스템 : Redis는 서버 간에 데이터를 공유할 수 있고, 큰 규모의 워드프레스 사이트의 확장성을 향상시킵니다.
● 여러 데이터 구조 지원 : Redis는 문자열, 리스트, 해시, 세트 등 다양한 데이터 구조를 지원하기 때문에 복잡한 캐싱 요구사항을 충족시킵니다.
● 자동 캐시 관리 : Redis object cache는 자동으로 만료 시간을 관리하고 만료된 캐시를 정리해 보다 효율적인 리소스 관리가 가능해집니다.
● 메모리 사용 최적화 : Redis의 maxmemory 설정을 통해 캐시가 사용할 수 있는 최대 메모리를 제한할 수 있기 때문에, 서버 리소스를 보다 효율적인 관리가 가능합니다.
● 전반적인 SEO 개선 : 전반적으로 로딩 속도가 개선되기 때문에 검색 엔진 최적화(SEO)에 긍정적인 영향을 가져옵니다.
Redis 캐시 시스템과 Memcached 캐시 시스템을 비교하는 콘텐츠도 많이 볼 수 있지만, Redis 캐시 시스템을 설정함으로써 사이트의 성능과 확장성 등과 함께 , PageSpeed Insights 사이트에서의 측정 결과도 높은 성능을 보이고 있습니다.
cPanel Redis Object Cache Setting
케미클라우드 워드프레스 호스팅은 사용자들에게 litespeed 서버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에 최적화된 캐시 플러그인은 LiteSpeed Cache이며, 해당 플러그인을 설치해 사용하는 것이 워드프레스 사이트 속도를 높일 수 있는 최선의 방법이 됩니다.
워드프레스 내 LiteSpeed Cache 플러그인에서 Redis 캐쉬 설정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Redis Object Cache 메뉴 찾기
Redis Object Cache 메뉴
cPanel로 들어가 Tools에서 Redis Object Cache 메뉴를 찾습니다.
소프트웨어 설정 그룹 안에 메뉴가 있으므로 혼돈하지 않아야 합니다.
Redis Object Cache 메뉴의 기본 설정은 OFF로 되어 있습니다.
ON 부분에 체크를 하고 과감하게 제출(submit)을 클릭하여 저장합니다.
그 아래와 같이 캐쉬가 저장되는 주소를 복사해 메모장에 붙여 놓습니다.
예) /home/내유저아이디/tmp/redis.sock
케미클라우드에서 제공하는 redis 설정하기 설명문서에서는 완벽하게 설명이 되어 있지않아 아래와 같이 설정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PHP Selector 메뉴 찾기
PHP Selector 메뉴를 클릭해 들어가면 아래처럼 체크박스 옵션들이 펼쳐집니다.
그 중에서 R 부분에 있는 redis를 체크하면 자동 설정이 됩니다.
워드프레스 라이트스피드 캐쉬 설정
그 후에는 내가 운영하는 워드프레스 사이트에서 관리자 로그인을 합니다.
그리고, 아래처럼 라이트 스피트 캐시 설정 페이지를 찾고, 객체 탭에서 객체 캐쉬 켜기, 매서드 Redis 활성화 시켜줍니다.
이후, 호스트 필드에 메모장에 옮겨둔 /home/내유저아이디/tmp/redis.sock 호스트 주소를 붙여 넣기하고, 포트를 0으로 설정해줍니다.
케미클라우드 워드프레스 호스팅 제품 안에 여러 개의 사이트를 운영 중이라고 해도 포트의 숫자는 0으로 기재하고, 변경 사항 저장을 합니다.
처음 변경사항 저장을 클릭하면, 연결 테스트는 보이지 않는 경우가 있습니다.
당황하지 말고, 해당 페이지를 새로고침한 후 연결 테스트 상태값이 통과로 나타나면 다시 변경사항 저장을 클릭합니다.
LiteSpeed Cache 플러그인 메뉴
워드프레스 내 좌측에 있는 LiteSpeed Cache 플러그인 메뉴에서 도구상자 및 데이터 베이스 항목에서 각각 청소를 해주면 완벽하게 Redis 캐쉬가 작동을 시작한 것입니다.
또, 구글에서 제공하는 페이지 스피드 인사이트로 이동해 웹페이지 속도가 얼마나 개선되었는지 체크해 볼 수 있습니다.
케미클라우드에서는 가입회원을 위해 24시간 고객상담을 지원하고 있으니, 설정 요청을 하면 친절하게 응답하고 도움을 줄 것입니다.